로고

백두산생물권보호구(2)

프레스아리랑 | 기사입력 2024/06/10 [03:34]

백두산생물권보호구(2)

프레스아리랑 | 입력 : 2024/06/10 [03:34]

                                     백두산생물권보호구(2)

 

                                                                         가솔송

                                                            구름오이풀

                                                             두메아편꽃

                                                              부전바디

                                      백두산천지호반의 만병초, 담자리꽃나무군락

                                                             사스레나무

                                                            좀자작나무

                                                                         푸른박새

                                                             비로룡담

 

<식물상>

 

백두산생물권보호구는 특이한 식물상으로 이루져있으며 그것은 매우 두꺼운 층을 이룬 부석우에 발달되여있다.

 

바람에 의하여 부단히 이동하던 부석층우에서 토양형성과정이 비교적 빨리 진행되게 된것은 백두산지구 식물상의 형성이 다른 지역보다 독특하게 진행되였기때문이다. 흔히 식물상형성의 초기에는 주로 포자식물들의 분포가 기본으로 되고있으나 백두산일대에서는 그와 달리 분포속도가 빠르고 싹트기률이 높으며 건조하고 추운 지대에 적응한 종자식물들이 먼저 자라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현재 소백산지구의 부석층에서 명백히 나타나고있다.

 

백두산지구의 식물상은 여러 단계를 거쳐 형성되였다.

 

백두산생물권보호구는 우리 나라에서 제일 높은 곳에 위치하고있으므로 기후대별요소에 따르는 종구성상태가 매우 다양하다.

 

보호구에는 3002 700여종의 식물들이 분포되여있다. 그중 종자식물이 제일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있다. 종자식물은 총 1 260여종이 있으며 그가운데서 속씨식물은 1 240여종, 겉씨식물은 10여종이다. 겉씨식물은 비록 종수는 적으나 백두산지구 식물형성에서 기본을 이루고있는데 그가운데서 분비나무, 종비나무, 이깔나무와 좀이깔나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있다. 백두산지구의 식물상에서 특이한것은 비교적 분포속도가 빠른 식물종들이 다른 지역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있으며 아직도 자기 분포구를 확장하기 위하여 움직이고있는 반면에 부석분출에 의한 피해를 받기 이전의 식물종들이 정일봉을 비롯한 일부 지역들에 국부적으로 분포되여있는것이다. 고등식물에서는 빙하기이후 고산조건에 적응한 담자리꽃나무, 시로미, 물싸리, 두메김의털, 왕대황, 산할미꽃, 두메아편꽃, 각시투구꽃, 끈끈이주걱, 두루미꽃, 누운산버들, 구름국화, 바위구절초, 만병초 등 한대성요소들이 기본으로 되고있다.

 

백두산지구의 식물상에서 이깔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사스레나무, 두메오리나무, 채양버들, 백두산자작나무 등 아한대성나무들은 산림형성의 기본수종으로 되고있다. 매저지나무, 들쭉나무, 백산차 등의 아한대성떨기나무들은 키나무사이에서 군락을 이루고있다. 초본식물들중에는 금방망이, 자주꽃방망이, 단너삼, 부채붓꽃, 손바닥란, 동의나물, 분홍노루발풀 등 아한대성요소들이 자라고있다.

 

백두산생물권보호구에는 오리나무더부살이, 왕대황, 시로미를 비롯한 10여종의 위협종식물이 분포되여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고산식물과 위기 및 희귀종식물, 주요약용식물분포 및 종구성, 백두산산림한계선부근의 식물피복변화과정 등 보호구의 식물변화상태를 평가하고 그를 원상그대로 보존육성하기 위한 과학연구사업들이 활발히 벌어지고있다.

 

국가과학원 생물다양성연구소 실장 류금혁

 

출처: 내나라(6.2.)

  • 도배방지 이미지

가솔송, 구름오이풀, 두메아편꽃, 부전바디, 사스레나무, 좀자작나무, 푸른박새, 비로룡담, 오리나무더부살이, 왕대황, 시로미, 백두산, 식물상 관련기사목록
광고
광고
광고